[CEO풍향계] '유럽 출장' 이재용…'시장 개척' 권영수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한 주간, 기업 CEO들의 동향을 살펴보는 'CEO풍향계' 시간입니다.<br /><br />오늘은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 권영수 LG에너지솔루션 부회장 이야기를 김종력, 한지이 기자가 전해드립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. 11박12일 일정으로 유럽 출장에 나서며 글로벌 경영을 재개했습니다.<br /><br />이 부회장의 해외 출장은 거의 반년 만인데요.<br /><br />오는 18일까지 독일과 네덜란드 등을 방문할 것으로 알려졌죠.<br /><br />재계는 반도체 장비 확보와 인수 합병 등에 이 부회장이 직접 나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독일을 먼저 찾은 이 부회장. 이후 네덜란드 ASML사를 찾아 극자외선 노광 장비를 확보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반도체 미세공정에 꼭 필요한 이 장비는 1년에 50여 대만 생산되죠. 따라서 반도체 위탁생산, 파운드리사업에서 대만 TSMC를 따라잡으려면 확보가 필수입니다.<br /><br />대형 인수합병 여부도 관심입니다.<br /><br />차량용 반도체 제조사인 네덜란드 NXP와 독일 인피니온, 그리고 영국 반도체 설계업체 ARM 등이 그 대상으로 꼽힙니다.<br /><br />이 부회장은 출국길에 굳은 표정으로 "잘 다녀오겠습니다"라는 말만 남겼죠.<br /><br />최근 450조원 투자 계획에 대해 "목숨 걸고 하는 것"이라고 말했던 이 부회장. 과연 어떤 미래 먹거리를 가져올까요.<br /><br />권영수 LG에너지솔루션 부회장. 자동차 배터리에 안주하지 않고 에너지저장장치 시장을 개척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LG에너지솔루션이 에너지 저장장치용 리튬인산철, LFP배터리를 내년 10월부터 생산합니다.<br /><br />미국,유럽에서 급성장 중인 에너지 저장장치 시장을 염두한 것으로 풀이됩니다.<br /><br />LFP배터리는 이 회사 주력 품목 하이니켈 배터리보다 에너지 밀도가 낮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태양광 발전소나 공장에 대량 설치가 가능한 게 장점이죠.<br /><br />따라서 에너지 저장장치 시장에선 단가가 낮은 LFP배터리가 활용성이 더 높다는 평가를 받고있습니다.<br /><br />권 부회장은 에너지 밀도가 높은 하이니켈 배터리와 LFP 배터리 등 포트폴리오를 다양화해 에너지 저장장치 시장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할 계획입니다.<br /><br />업계에서는 권 부회장이 향후 차량용 LFP 배터리도 고려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기존 하이니켈배터리로 고가형 전기차를, LFP배터리로 저가형 전기차 시장 공략에 나서리라는 겁니다.<br /><br />고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. 생전 사진에 각별한 애정을 보였는데요.<br /><br />그의 3주기 추모 행사가 사진전으로 마련됐습니다.<br /><br />조 전 회장은 중학생때부터 사진에 관심을 가진 것으로 알려졌죠.<br /><br />부친 조중훈 한진그룹 창업주로부터 카메라를 선물받은 게 계기였습니다.<br /><br />이후 국내외를 오가는 바쁜 출장 중에도 카메라는 잊지 않았죠.<br /><br />2009년에는 사진 124점과 작품 해설을 담은 사진집을 출간하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또 유망 사진가를 발굴하는 '일우사진상'을 제정했고, 이 상은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죠.<br /><br />이번 사진전에는 조 전 회장이 생전에 촬영한 작품 45점을 비롯해 고인의 작품이 담긴 달력, 카메라, 여권 등도 함께 전시됩니다.<br /><br />추모 사진전에는 조 전 회장 막내딸 조현민 주 한진 사장도 참석해 눈길을 끌었습니다.<br /><br />2018년 '물컵갑질' 논란을 일으켰던 조 사장은 지난 1월 부사장에서 사장으로 승진했습니다.<br /><br />해외 입국자 격리의무 해제 등으로 항공업계가 들썩이고 있죠.<br /><br />김이배 제주항공 대표이사, 취임 2주년을 맞아 기자간담회를 열고 포스트코로나 시대 전략을 발표했습니다.<br /><br />김 대표이사는 제주항공의 전략 키워드로 '세상으로 나아가기 위해 도약을 준비한다'는 '비도진세'를 내놨습니다.<br /><br />우선 원가경쟁력과 재무건전성을 확보하고, 내년부터 B737-8 40대를 차례로 도입해 보유 비행기 현대화에 나설 계획이죠.<br /><br />또 화물기, 도심 항공교통 같은 신사업에도 진출할 방침입니다.<br /><br />하지만 대한항공-아시아나 합병의 바람을 피하긴 어려울 것 같습니다.<br /><br />양사 산하 진에어와 에어부산, 에어서울이 합병하면 규모에서 제주항공을 넘어서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하지만 김 사장은 "통합 여부가 아직 확정되지 않았고, 그 사이 제주항공도 성장할 것"이라며 저비용항공사 1위 수성에 자신감을 보였습니다.<br /><br />포스트오미크론의 기대감에도 불구하고 대내외 경영 환경은 점점 안 좋아지는 분위기입니다.<br /><br />국내 주요 기업들도 잇따라 경영전략회의를 개최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머리를 맞대는 만큼 위기상황을 슬기롭게 헤쳐나갈 혁신적 방안이 쏟아져 나오길 기대하겠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CEO풍향계였습니다.<br /><br />#이재용 #삼성전자 #권영수 #LG에너지솔루션 #조양호 #한진그룹 #김이배 #제주항공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